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저는 최근 대학원을 졸업하고 회사에 취업하여 열심히 적응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AI로 인해 참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끼고 있어요.
생성형 AI는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극도로 올려주었습니다. 사실상 개발을 잘한다 = AI를 잘 쓴다라는 말이 될 정도니까요.
저는 AI 대학원을 졸업했습니다. 그리고 16년도 컴공에 들어왔을 때 부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라는 직종에 매료되어 관련된 공부를 해왔었습니다. 대학원에서 AI를 비교적 딥하게 연구하고 보니, 제가 그동안 알고 있던 학사 시절 AI에 대한 지식은 상당히 미천한 수준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회사에 들어와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다보니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AI에 대한 프로젝트를 준비/진행하고 있더라구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AI에 대하여 전혀 모르고 그저 라이브러리만 불러다 사용해보니 좋더라.. 혹은 ChatGPT를 사용하여 얻은 지식을 기반으로 AI 개발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모델을 학습시킬 때 좀 더 딥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스스로 찾아내기에 매우 어려워 보인다고 느꼈습니다.
두서가 길었네요.. 제가 Hello Deep Dive Into AI라는 소재의 글을 적으려는 목적은 사람들에게 제가 알고있는 선에서 최대한 자세히 AI의 기초적인 이론 내용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글은 길면 읽기 힘들더라구요..(요즘 숏폼이 대세니까요..) 저도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최대한 짧고 굵게 정보 공유를 드리려고 해요. 약간 숏폼처럼.. 물론 제가 주는 인사이트는 지금 크게 도움이 될 수 없을 수도 있어요..(왠만한건 GPT가 다 알려주니까요.. GPT is god.) 그래도 재밌게 읽어주시면 AI 관련 기초 지식을 쌓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라고 확신합니다. 다음주부터 조금씩 소개드리도록 할게요.
그럼 이만~
*Hello, World!를 아시나요?
학교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을 처음 시작할 때 새로운 언어로 항상 이 문구를 찍는게 첫 실습 수업내용이었습니다.. (요즘도 그렇죠?) ㅎㅎ 첫 시작이라는 의미로 Hello, Deep Dive Into AI!로 인사드립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DiveTo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 다층 퍼셉트론, 퍼셉트론의 한계를 넘어서 (0) | 2025.03.30 |
---|---|
001. 퍼셉트론, 인공지능의 첫걸음 (1) | 2025.03.25 |